경북도, 물기업 100개사 집중육성
경북도, 물기업 100개사 집중육성
  • 유경상 기자
  • 승인 2015.10.02 16: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년 강소 물기업 10개 선정지원, 10년 내 100개사로

경상북도가 2025년까지 수출이 유망한 물기업을 100개사까지 육성하는 ‘물기업 해외수출 지원사업(Water Export 100)’을 시행한다. 도는 내년에 10개사, 20년에는 50개사, 23년에는 80개사를 넘어 오는 25년까지 100개사를 목표로 내놨다.

지난 4월 세계물포럼 이후, 도내 175개 물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강소 물기업을 연차적으로 선정해 핵심 수출기업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물기업 대상은 상수,하수,폐수 처리에 사용되는 자재, 약품, 설비 생산기업 등이다. 지원 대상은 성장 가능성이 높고 수출 역량을 갖춘 도내 강소기업이며 전문 컨설팅기관과 연계해 해외사업 전 과정에 맞춤형으로 지원한다. 선정 및 지원규모는 내년에 업체당 최대 5천만원 이내이다.

먼저, 전략적 해외시장 개척활동을 위해 ‘해외시장개척단’을 파견하고, ‘국제물산업 전시회’ 참가를 통해 국제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기업의 수출인프라 구축을 위해 외국어 홈페이지 및 홍보물 제작, 해외규격 인증 획득 지원 등 수출 초보기업의 마케팅 활동을 지원하고, 해외 바이어 발굴을 위해 중소기업진흥공단, KOTRA와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해외시장 조사도 병행한다.

특히 동남아, 아프리카 등 새마을 세계화 시범마을에 물포럼 인기 시찰코스였던 경주 하수처리특허공법 등 도내 물기업의 선진화 기술을 전수하고, 맑은 물을 제공하는 시범사업도 적극 추진한다.

한편 지난 4월 물포럼 이후 경북도에서는 ▶지역 생수업체 700억원 규모의 생수 캄보디아 수출(‘15.4.9), ▶우수 빗물처리기술 중국 이싱시와 60억원 기술협약(‘15.5.4), ▶지역 멤브레인 업체의 수도권 대신 지역에 541억원 규모의 증액 투자 결정(‘15.7.23), ▶중국 독점 납품이 기대되는 수처리 기자재 업체의 도내 입주 결정(‘15.9.4) 등 성과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

경북도는 주기적으로 ‘수출 강소 물기업 CEO 간담회’를 개최하여 수출지원정책을 공유하고, 기업 애로사항 청취해 맞춤형 기업지원으로 수출 핵심 강소 물기업을 10년내 100개사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도김정일환경산림자원국장은 “제7차세계물포럼을통해경북물산업의 잠재력을 확인했다면서, 도내 물기업들이 더 큰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물산업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