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년은 임시정부 초대국무령 70주년 되는 해

10월17일 오전 10시30분 안동 임청각(보물 182호)에서 <국무령 이상룡 기념사업회(회장 이종주)>가 창립대회를 개최했다.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이상룡 선생의 업적을 선양하는 활동에 들어간다.
이번 창립대회는 다가오는 2015년이 석주 이상룡 선생이 임시정부 초대국무령이 된지 70주년이 되는 해이고, 이상룡 선생의 뜻과 활동을 후세에 알릴 수 있는 기초를 만들기 위해서다.
선생은 1858년 안동 임청각에서 고성이씨 종손으로 태어났으나 안락한 삶을 뒤로 한 채 1894년 의병운동을 시작으로 재정적인 지원과 함께 직접 뛰어들었다. 그 후 기울어가는 조선을 일으켜보려고 유림을 중심으로 많은 활동을 하였으나 결국 1910년 나라를 잃었다. 선생은 지역의 많은 선후배를 이끌고 돌아올 수 없는 중국 망명길에 올랐다.
고향과는 전혀 다른 풍토에서 많은 희생을 치루고 최초의 독립운동기지인 경학사를 서간도에 만들고 민족정신을 이어주기 위한 교육 사업에도 힘을 쏟았다. 독립운동가 조직을 이끌고 1925년에는 사분오열하는 임시정부의 힘을 통합하기 위해 임시정부 초대국무령으로 취임하여 혼신의 힘을 다하였다. 1932년 순국하는 그날까지 후배 독립운동가들을 이끌고 변하지 않은 독립운동정신을 보여주었다.
선생은 유언으로 ‘나라를 찾기 전에는 내 유골을 고국으로 가져가지 말라’, ‘진실로 참다운 성실이 있다면 목적을 이루지 못함을 근심할 필요가 있겠는가?’ 라는 말을 남겼다.
국무령 이상룡 기념사업회 관계자는 “석주 이상룡 선생을 시작으로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임청각의 사람들의 정신과 삶을 되짚어보기에 늦은 감이 있으나 이번 창립대회를 계기로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던 석주 이상룡선생과 안동지역의 독립운동가들의 평가가 다시 이루어질 수 있는 토대가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