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의 올해 수산․어촌 분야 예산이 951억원으로 확정됐다. 이는 지난해 907억원보다 4.8%늘어난 것으로 이를 수산식품산업 육성, 연근해어업 경쟁력 강화 등 행복한 어촌삶터 조성을 위해 중점 투입할 계획이다.
수산․어촌 분야 예산은 크게 FTA체결에 따른 수산물 시장개방 등 대외여건 변화에 대응하고, 자원량 감소, 어업인력 노령화, 어업경쟁력 저하에 따른 수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연근해어업 경쟁력 강화, 어항시설 확충, 양식어장 개발, 고품질 수산물의 안정적 공급체계 구축에 중점을 두고 수산․어촌분야에 각각 쓰인다.
수산물 유통 선진화를 위해 2015년까지 완공을 목표로 포항과 경주에 수산물 물류유통센터를 건립(2개소, 50억원)하고, 또한 포항 과메기산업화 가공단지(43억원)와, 영덕 로하스식품 거점단지(105억원), 울진 붉은대게 식품단지 조성(14억원)은 동해안권 1차어업의 수준을 업그레이드하여 마케팅과 수출에 이르기 까지 어업인들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동해안은 조수간만의 차가 적고, 수심이 깊어 리아시스식 해안인 서․남해안처럼 양식업이 발달하기 어려운 환경으로 지형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50억원을 투입하여 지역별 5대 전략품목(조피볼락, 참전복, 우렁쉥이, 강도다리, 홍해삼)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외해 양식장 개발(15억원) 등으로 양식산업의 새로운 활로를 개척할 계획이며, 수산자원개발연구소를 중심으로 대게 치게, 독도왕전복, 대문어, 돌가자미 등 고부가 품종의 종묘생산 기술을 개발키로 했다.
동해안 해안에 인공어초(120ha, 37억원), 연안바다목장(4개소, 40억원), 바다숲 조성(5개소, 10억원)과 함께 건강한 수산종묘를 매년 8백만마리 이상 방류하는 등 인위적인 계획 관리를 통해 어업인의 실질적 생산성을 향상시켜 소득을 높이는데 주력할 계획이다.
또한 어촌자원을 활용한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포항시 남구 구룡포읍장길리에 해양낚시터, 생태체험장, 전망대 등 복합낚시공원(21억원)을 올해까지 조성하여 관광 인프라를 확충하며, 도내 117개어항에 대하여 시설 확충을 위해 163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어업경영 지원 및 어업인 소득복지 향상 분야에서는 어선원 및 어선 재해보험료지원(13억원), 잠수어업인 진료비 및 해녀 잠수복 지원(4억 2천만원), 어업생산비절감 및 안전장비(20억원), 고효율 어선유류절감장비(8억원) 등을 지원하여 어업인들의 경영 안정을 위해 지원할 계획이다.
이두환 경북도 동해안발전추진단장은“FTA체결로 인한 시장개방, 자원감소 등 대‧내외적 위기 극복을 위해 고품질 수산물 생산으로 경쟁력을 높이고 시장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함과 더불어 지역 수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국비예산을 추가 확보하여 어업인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수산․어촌 예산 951억원, 전년대비 4.8% 늘어
저작권자 © 경북in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