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인 소유 근대소품
진열위해 200억 이라니
특정인 소유 근대소품
진열위해 200억 이라니
  • 유경상 기자
  • 승인 2013.04.25 10: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도 테마공원 베끼는게 테마이다!
스토리, 테마도 없이 추진, 배경 뭐냐?

본지 지난 호(4월11일)가 지적한 ‘특정인 미술관, 80억 지원 특혜 논란’에 이어 안동시가 올해 제1회 추경 세출예산 확정과정에서 또 다른 특혜 및 타당성 자체 의혹까지 불러일으키는 신규사업을 내부적으로 확정 시켜 그 추진배경에 대한 관심과 함께 주먹구구식 행정이라는 비판까지 가세하고 있는 실정이다. 소위「생활변천사 테마공원 조성」사업의 기본설계 및 타당성 용역비용으로 1억원을 슬그머니 책정해 둔 상태이기 때문이다.

▲ 제주도 테마공원 일부 시설물.

안동시청 담당부서에 따르면 근대생활변천 과정의 전통소품을 약 3만여평 부지 위에 공간 과 전시물을 설치해 놓고, 찾아오는 관광객들에게 관람과 함께 체험을 수반시키겠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신규인력 또한 100여명 채용이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물색하고 있는 후보지로는 3대문화권사업지 주변과 하회마을 인근, 그리고 안동댐 문화관관광지 등이다.

市에서 ‘생활변천사 테마공원’ 조성을 추진하게 된 이유 중 하나는 지역의 某 민간인이 보유하고 있는 전통소품들을 전시하겠다는 것이다. 이런 논의를 지난 2010년부터 진행해 왔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당시 담당공무원은 논의자체를 들은 바 없다고 말하고 있다. 이에 대해 지역 某 인사가 수집해 왔다는 근대생활 소품을 전시하기 위해 테마공원을 추진하게 된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경북도 간부 및 중앙부처 간부공무원을 역임한 고위인사와의 친분을 활용한 것이 아닌가 하는 눈초리까지 등장하고 있다. 결국 지역 某 인사가 소유하고 있는 근대생활 소품은 기증과 함께 민자의 주체로 등장한다는 주장이 설득력 있게 나오고 있다. 안동시에서는 민자유치를 확실하게 약속받고 사업을 추진한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지만, 결국 사업이 끝나면 운영관리는 개인소유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공공재정의 쓰임새에 특혜시비가 불거질 전망이다. 이에 근대시절의 생활변천 관련 소품을 중심으로 전시하는 실내, 실외 박물관 건립을 추진하게 된 전후과정을 상세하게 밝혀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기존 박물관 지근거리와 연계한 창조발상 불가능한가
현재 안동시의 담당부서에서 벤치마킹의 유력한 대상으로 보고 있는 사례는 제주도의「테마공원 선녀와나무꾼」이다. 선녀와나무꾼 테마공원 견학 또한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바탕으로 사업내용은 “추억의 학교, 향토사박물관, 역사이야기 촌 등을 조성한다”는 것이다. 이 속에는 시골장터 방앗간, 주막, 술도가, 기름방, 푸주간 등 실제공간을 재현시켜 관람객이 직접 실행해 볼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외에 움집과 초가, 기와 등 전통가옥의 숙박시설과 자연치유시설, 레저시설, 미니동물원 등을 건설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몇몇 전문가들은 상이한 입장을 내놓고 있다. 먼저,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타 지역 테마공원을 베껴와 안동지역에 설립하겠다는 것 자체가 새로운 발상인가 하는 점이다. 또한 테마공원이라 명칭을 만들었지만, 어떤 테마인가에 대해서도 고개를 가로 저었다. ‘근대생활사’에 얽힌 여러 소품이 있지만, 충남 당진의「기지시줄다리기박물관」처럼 구체적으로 짚과 풀을 테마화시키지도 않았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는 홍길동이나 김삿갓의 경우처럼 특정역사인물이라는 중심스토리 조차도 없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기존의 몇몇 박물관 중 안동댐에 위치한 민속박물관의 리모델링을 통한 혁신 및 재활용을 적극 검토할 수도 있지 않느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기왕 운영되고 있는 민속박물관의 기능을 대폭 혁신시키고, 그 지근거리에서 근대생활문화 체험공간 조성을 검토하는 것이 경제적이라는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