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갑 국회의원(민주노동당)이 지난 8일 안동시농업인회관에서 지역 농업인 단체 및 농민 50여명과 만나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간담회는 지난해 지역에서 발생한 구제역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농가와 강기갑 의원과의 자연스런 토론에 의해 진행 되었다.
간담회에 앞서 강기갑 의원은 “그동안 지역 국회의원과의 간담회 자리도 있었을 것으로 안다. 지역구 국회의원도 아닌 몸으로 이런 자리를 갖는 자체가 조금은 부담스럽다. 하지만 국회 구제역 특위위원으로서 안동지역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이런 자리를 갖게 되었다”면서 인사말을 대신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축산농업인 대표들은 구제역 발생 초기 정부의 안일한 대처능력과 사후처리, 그리고 최근 논란의 쟁점이 되고 있는 보상 문제에 대해 격앙된 한목소리를 냈다.
김건년 안동시 양돈협회 지부장은 “구제역 초기 정부의 강제적인 살처분 명령에 따를 수밖에 없었다. 당시 안동시 공무원, 수의사, 축협직원으로 구성된 평가반에 의해 평가받았고 서명을 받았다. 그런데 기존 평가는 아예 무시하고 안동지역이 먼저 살처분 했다는 이유로 타 지역과 비교해 보상금액과 시기가 늦어지고 있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 정부는 처음에 약속했던 부분을 지켜야 한다”면서 타 지역과 동등한 보상요구를 주장했다.

당초 정부는 보상금 지급기준을 살처분 당일 지육 평균 시세를 적용한다고 발표했으나 구제역이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살처분 두수가 급증해 돼지가격이 폭등하자 지육평균 시세 상한가(5,500원)를 둔다고 했다.
구제역이 늦게 발생함으로서 상한가 5천5백원을 적용받는 다른 지자체와 비교해 안동지역 양돈농가 대부분은 구제역 발생 초기인 작년 11월 말에서 12월 초순에 대부분 살처분 함으로서 당시 지육시세 4천원을 지급기준으로 적용받아 돼지두당 가격 차이는 약 6만원에 이른다.
이에 안동시 양돈농가들은 전국 양돈농가 전체가 동일한 보상기준을 적용할 것과 최초 살처분 일로부터 전국 마지막 살처분 완료일까지 평균 시세에 따른 적용방법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사과농사를 짓고 있다는 한 농민은 “구제역 발생으로 인해 축산농가 뿐만 아니라 지역의 대표적 농산물인 사과농가에도 많은 피해를 가져왔다. 작년 연말 출하시기를 놓치면서 지역 사과매출이 약 30% 가까이 줄어들었는데도 정부와 지자체는 아무런 대책이 없다”면서 불만을 토로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 자리에는 김성환 안동시 경제산업국장이 참석해 농민들로부터 강한 질타를 받기도 했다.
이날 농민들은 최근 안동시가 처음 약속보다 낮은 금액이 적힌 보상금 수령지에 서명을 하지 않으면 공탁을 하겠다는 것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울분을 토해냈다.
이에 김성환 국장은 “보상금과 관련해 경북도, 국회, 정부 등에 지속적으로 건의하면서 농민들과 아픔을 함께하고 있다. 그리고 공탁에 관련된 내용은 농림식품부로부터 공식적인 지침서가 내려왔다. 지자체 입장에서는 따를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강기갑 의원은 “공탁에 관련된 문서가 대외비냐? 대외비가 아니면 농민들에게 공개해 공식적으로 논의하길 바란다”고 김승환 국장에게 요구했다.
또한 강기갑 의원은 “오늘 안동시 구제역 피해농민과 나눈 대화를 검토해 문제가 있는 사항은 국회 구제역 특위에서 정부에 공식적으로 제기해 문제해결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강기갑 의원을 비롯해 윤금순 민주노동당 최고위원, 윤병태 민주노동당 경북도당 위원장, 서정화 안동시 농단협회장 등 50여명이 참석해 예정보다 1시간 이상을 초과한 약 2시간 30분에 걸쳐 열띤 토론을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