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계획은 없고 버스터미널 건물만
도시계획은 없고 버스터미널 건물만
  • 경북인
  • 승인 2010.11.13 12:54
  • 댓글 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용객 불편은 물론 무분별한 난개발과 예산낭비 우려

 

▲오는 12월 완공 예정인 안동시 송현동의 안동시외버스터미널의 인근은 아직 도시계획이 없다

안동시민의 숙원사업으로 공사중인 안동버스터미널의 완공이 얼마남지 않았다. 하지만 이 인근지역으로 도시계획이 없어 무분별한 난개발과 재건축으로 예산낭비가 우려된다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안동버스터미널 이전은 안동시 송현동 일원에 지난해 6월 착공식으로 시비와 민자를 포함해 총 사업비 312억을 들여 오는 12월 완공 예정으로 마무리 공사가 한창이다.

착공당시 안동시는 "안동버스터미널은 경북도청이전 예정지인 풍천면과 안동시를 연결하는 거점지역으로 큰 의미를 가지고 있는 만큼 이용객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지역의 균형적인 발전에 기여하며 대중교통할성화 및 도심 교통난 해소를 위해 웅도경북 1,000년의 도읍지에 걸맞는 명품 터미널로 짓겠다"는 약속과 함께 공사를 시작했다.

하지만 안동시는 안동버스터미널 건물만 건축하고 인근지역으로 아직 도시계획은 하지 않고 있어 지역민들이 시에 시정요구를 하고 있다.

안동시 도시디자인과 담당자는 “지금 인근 땅에는 비닐하우스 등 농사를 짓고 있는 농지라서 아직 도시계획이 없는 상태며 용도지역을 풀어야 가능하다. 그 지역은 계획관리지역으로 건물 층수 제한과 상업건물은 지을 수 없다. 나중에 재개발을 하더라도 지금은 어쩔 수 없다”라고 말해 아직 행정적인 준비조차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계획관리지역은 과거 준도시 지역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도시지역으로의 편입이 예상되는 지역과 자연환경을 고려하여 제한적 이용 및 개발예정지역이다. 그래서 계획적,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제한사항이 따라서 일반적인 상업용이나 주거용건물은 짓는데 어려움이 있다.

옥동 H부동산 관계자는 “버스터미널이 이전되면 인근지역으로 관련 건물들이 들어서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므로 상업지역이나 주거지역으로 용도변경을 해 주어야 한다. 나중에 도시계획선을 만들어 재정비하려면 건물주나 시는 더 많은 예산을 들여야 하므로 금전적인 손실은 있을 수밖에 없다. 대형 공공시설물 계획이 있으면 주위 상가들이나 일반건축물들이 들어 설 수 있도록 앞을 보는 행정이 필요하다”며 타 시ㆍ군들의 예를 들어 시정을 요구했다.

송현동의 주민 K모(67세)씨는 “안동시의 늑장행정으로 안동버스터미널 인근지역에 조립식건물이나 불법건축물들이 난립한다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을뿐더러 안동을 찾는 관광객들이나 방문객들은 불편해 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며 빠른 시정을 요구했다.

또한 지역구 출신 안동시의회 정훈선 의원은 “도시계획은 계속 증가하는 도시 활동인구를 위해 도시환경을 새로이 개조·발전시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도시계획과 재개발은 건물·도로·공원·공공시설 등의 물리적인 배열과 도시환경의 정비뿐만 아니라 도시사회의 사회·경제적 발전을 목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난개발을 막고 막대한 예산낭비를 줄이려면 하루빨리 도시계획을 세워야 한다”며 현실적인 행정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현재 안동버스터미널 이전지 부근으로는 시내에 있는 안동역이 옮겨져 올 계획이며 지난 8월 1일 안동하회마을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서 안동을 찾는 관광객들이 급속도로 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2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양심의 가책 2010-11-14 13:23:36
안동시를 책임졌던 김모 시장님의 치적쌓기용 전시행정으로 아까운 시민의 혈세는 자꾸 얼뚱한 곳으로 세어나가고 있네요. 5대관문, 안동문화관광단지, 바이오단지, 문화예술의 전당, 학가산온천, 버스터미널 등등등 막대한 예산이 수반된 곳에서 시민이 얻을 것은 무엇인가요? 하기야 G20 승용차 없는날 하자니 공무원들은 청사 옆 골목에 주차해 놓는 실정이니 무얼 바라것 습니까 만은....

허허벌판 2010-11-13 16:20:05
터미널 인근은 그야말로 허허벌판. 접근성도 용이하지 않아 이용객들은 불편을 느낄껏 같네요. 터미널안에 어떤 상점이 들어설지 모르겠지만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들이 즐길만한 여가시설이 아직은 미비한 수준입니다. 장기적인 도시계획을 세운 후 착공을 해도 늦지 않았을텐데 아쉽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