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9회 대한민국연극제 in 안동‧예천’, 네트워킹 페스티벌 참가단체 모집
‘제39회 대한민국연극제 in 안동‧예천’, 네트워킹 페스티벌 참가단체 모집
  • 편집부
  • 승인 2021.04.22 14:25
  • 댓글 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최대 연극축제 제39회 대한민국연극제, 네트워킹 페스티벌 참가단체 모집

경상북도, 안동시, 예천군, ()한국연극협회가 주최하고 ()한국연극협회 경상북도지회, 대한민국연극제 집행위원회가 주관하는 국내 최대 연극축제 '39회 대한민국연극제 in 안동예천'이 오는 2021717()부터 88()까지 경상북도 안동시 및 예천군 일대에서 개최된다.

1983년 전국연극제(2016년부터 대한민국연극제로 명칭 변경)로 첫발을 내딛은 후 39년 간 이어져오고 있는 대한민국연극제는 서울을 포함 한 16개 시도 연극인들의 화합을 기반으로 연극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수도권과 지역 연극의 균형적 발전 및 연극 가치의 성장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올해는 2009년 전국연극제 구미 유치 이후 12년만의 경북권 개최인 만큼, 내실 있는 연극제로 만들기 위한 준비가 차근차근 진행되고 있다. 올해 연극제 슬로건 '연극, 오 마이 갓'은 전통의 도시 안동, 예천이 젊은 감각으로 열려있음을 상징한다. '갓'은 연극의 경이로움, 상상 이상의 놀라움을 담은 감탄사이면서 안동과 예천의 양반정신, 유교문화를 표현하고 있기도 하다.

올해 연극제는 717() 안동탈춤공연장에서 개최되는 개막식을 시작으로 전국 예선을 통해 선발된 각 지역대표 극단들의 본선 공연을 메인으로, 차세대 연극인을 위한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네트워킹 페스티벌’, 그 밖에 연극과 대중의 거리를 좁히며 시민과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야외 공연, 문화행사들로 알차게 구성될 전망이다.

차세대 연극인들의 도전무대 <네트워킹 페스티벌>은 신진 연극인들의 저변 확대를 위해 참가단체의 연출가 연령을 40세 이하(198211일 이후 출생자)로 제한한고 있다. 한국연극협회 회원 및 비회원 모두 지원 가능하며, 초연, 재연, 창작극, 번역극 모두 신청 가능하다.

1차 서류심사, 2차 공개심사를 통해 최종 8개 단체를 선발할 예정이며, 선발된 단체에는 지원금 300만원 및 공연장, 공연 홍보 등을 지원한다.

네트워킹 페스티벌은 오는 430() 18:00까지 지원할 수 있으며, 공모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연극제 공식 홈페이지(http://ktf365.org) ()한국연극협회 홈페이지(ktheater.bravod.co.kr)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2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윤진한 2021-04-23 05:01:14
야사라는게 정설입니다.



유교,공자.은,주시대始原유교때 하느님.조상신숭배.세계사로보면 한나라때 공자님도제사,동아시아(중국,한국,베트남,몽고지역)에 세계종교 유교성립,수천년전승.한국은殷후손 기자조선 기준왕의 서씨,한씨사용,三韓유교祭天의식. 국사에서 고려는 치국의道유교,수신의道불교.

세계사로 보면 한나라때 동아시아 지역(중국,한국,베트남,몽고지역)에 세계종교 유교가 성립되어 지금까지 전승. 이와 함께 한국 유교도 살펴봄.

한국 국사는 고려는 치국의 도 유교, 수신의 도 불교라고 가르침. 고려시대는 유교 최고대학 국자감을 중심으로, 고구려 태학, 백제 오경박사, 통일신라 국학의 유교교육을 실시함. 유교사관 삼국사기가 정사(正史)이던 나라.

http://blog.daum.net/macmaca/3057

윤진한 2021-04-23 05:00:39
양반제도는 하느님이 인간을 창조하신(유교경전 시경:天生蒸民)이후, 인간이 과거제.관리등용제를 만들어내서, 중국의 관리등용방법이 고려 유교.조선유교의 유교교육.과거제.관리등용제를 통해 형성된것.

명절,제사,24절기,한자사용,한문성명등 수천년 동아시아 유교문화는 그대로 체화되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국은 세계사의 정설로,한나라때 동아시아(중국,한국,베트남,몽고)에 성립된 세계종교 유교국으로 수천년 이어진 나라임. 불교는 고구려 소수림왕때 외래종교 형태로 단순 포교되어, 줄곧 정규교육기관도 없이, 주변부 일부 신앙으로 이어지며 유교 밑에서 도교.불교가 혼합되어 이어짐. 단군신화는 고려 후기 중 일연이 국가에서 편찬한 정사인 삼국사기(유교사관)를 모방하여, 개인적으로 불교설화 형식으로 창작한 야사라는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