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에서 ‘노무현의 꿈, 노무현의 도전’ 추모 강연
故 노무현 前 대통령 추모강연회가 ‘노무현의 꿈, 노무현의 도전’을 주제로 21일 오후 6시30분 안동시 청소년수련관 1층 강당에서 열렸다.

‘참여정부평가 국민포럼(참평포럼)’이 주관한 이날 추모 강연회는 ‘경북혁신연대’ ‘전국대학노조 안동대지부’ ‘따뜻한 한반도 사랑의 연탄나눔운동 안동지회’가 공동주최했고, ‘경북인뉴스'와 '안동신문'이 후원했다.
강연이 시작되기 전 시민들에 의해 자체 제작된 추모 동영상이 상영되기도 했으며 지역의 시민단체들과 일반 시민들이 참석해 강연 중간마다 박수가 이어져 노무현의 꿈, 노무현의 도전이 끝나지 않았음을 보여주었다.

이 강연회에는 김병준 전 청와대 정책실장과 이병완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연사로 참석하였으며 두 시간 동안 진행된 강연회에는 약 300여명의 시민들이 참석해 성황을 이루었다.

연단에는 먼저 참여정부 시절 ‘지방분권의 전도사’란 평가를 받았던 김병준 前청와대 정책실장이 올랐다.
‘노무현의 시대, 참여민주주의의 시대’를 주제로 강연을 한 김 전 실장은 노무현 前 대통령 비석 받침대 앞에 새겨진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는 깨어 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 입니다’란 어록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실장은 “전국 각지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을 뜨겁게 추모한 것이 단순히 고인에 대한 안타까움 때문이 전부는 아니라고 본다. 안타까움이 70%라면 나머지는 자기 자신이 갖고 있는 답답함, 말로는 형언할 수 없는 그 무언가 서러움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라며 “꽉 막혀 있는 답답한 마음을 뚫는 것이 바로 ‘소통’이다. 지금 이명박 정부는 국민들의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정말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김 전 실장은 “노 대통령께서도 이 문제에 대해 굉장히 많이 고민을 했다. ‘민주주의 2.0’도 이러한 고민의 연장이었다”면서 “국민에게 정책적인 정보를 전달하고, 서로 토론하는 장을 만드는 것이 한국 민주주의를 성장시키는 것이라 믿었었다. 직접민주주의를 강화하는 측면으로 이해했던 것 같다”고 노 대통령의 정치실험을 소개했다.
그는 또 “일전에 노 대통령께서 ‘여론은 언제나 존중돼야 한다. 그러나 여론 속에 국가비전과 추진전략이 다 들어있지 않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을 한 적이 있다. 여론을 존중하되 다 믿지는 말라는 것”이라며 “그 분은 퇴임 이후에 사이트(민주주의 2.0) 를 만들어 정성을 기울이는 것을 보면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얼마나 고민하고, 실천하려 했는지 알 수 있었다”고 회고했다.
김 전 실장은 “노 대통령은 우리 정치사에서 정치소비자를 정치생산자로 끌어들였다는 점에서 매우 혁신적인 일을 하신 분”이라며 “이제는 새로운 민주주의 질서를 만들어야 하는데, 노무현의 정치적 실현, 행로를 바탕으로 해서 한 단계 더 전진해야 한다. 특정 정치지도자가 중심이 되는 것이 아니라 시민 한 명 한 명이 중심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실장은 특히 “우리 주위의 시민을 어떻게 깨어있게 할 것인가가 중요한 것”이라며 “이것이야 말로 노 대통령의 정신을 기리고, 그 정신을 더욱 더 위대하게 하는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는 깨어 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입니다’

참여정부 시절 노무현 前대통령을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함께 했던 이병완 前대통령 비서실장은 ‘노무현의 꿈, 노무현의 도전’을 주제로 노 前대통령과 겪었던 여러 가지 일화들을 풀어가며 연설을 했다.
그는 또 “참여정부는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를 열어 경제를 튼튼히 만들었다. 휴전선에서 국군 전사자가 단 한명도 발생하지 않은 유일한 정부였다. 더구나 대통령이 퇴임 직전까지 ‘식물정권’이 아닌 상태로, 당당하게 걸어 나온 첫 정권이었다”면서 “링컨이 평가를 받는데 100년이 걸렸다. 평가를 받는 날이 곧 올 거라고 열심히 설명을 드렸는데도, 대통령은 '실패했다'며 고개를 저으셨다”고 회고했다.
이 전 실장은 “박정희 30년, 김대중 30년 시대를 뛰어넘어 노무현 대통령이 뿌려놓은 민주주의의 씨앗은 자라나는 세대에게 희망을 줄 것”이라며 “노무현의 나라는 시민주권의 나라다. 참여하고 각성하는 시민권력이 나올 시대다. 이것이 바로 노무현 시대를 의미한다”고 힘주어 역설했다.
이 전 실장은 특히 “노 대통령은 ‘대연정’ 제안이란 고육지책을 통해서라도 대화와 타협의 정치를 추구했다. 이 시대 우리가 추구해야 할 가치라 생각한다”며 “대화와 타협이 통하는 상식이 통하는 정치가 바로 노무현의 가치다. 우리가 이런 노무현의 가치가 빛을 볼 수 있도록 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