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도는 8일 오후 2시 도청에서 삼국유사 목판(木板)사업 추진위원과 자문위원, 유관 기관·단체장 및 관련 학계전문가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삼국유사 목판사업 조선중기본 완료 보고회 및 경상북도본 정본화 학술대회’를 열었다.

‘조선중기본 완료 보고회’는 조선 중종 임신본 복원 성과물 등 관련 전시품들을 관람하는 것을 시작으로 사업추진 성과보고, 조선중기본 인출본 전달식, 홍보영상 시청의 순으로 진행됐다.
삼국유사 목판사업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간 ‘조선중기본’, ‘조선초기본’, ‘경상북도본 ’ 3종을 차례로 복각(復刻)해 인출(印出)한 후 오침 안정법(五針 眼訂法) 등의 전통 방식으로 책을 만들어 보급하는 사업으로 삼국유사가 목판의 멸실로 인쇄본만 전해져 옴에 따라 목판 원형의 복원을 통해 삼국유사의 역사적 의의 규명과 전통기록문화 계승·발전의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2013년 5월 시작됐다.
이번에 최초로 복원한 ‘조선중기본’의 판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이 소장하고 있는 5권 2책의 중종 임신본(1512년 간행)으로서 현존하는 가장 온전한 형태의 삼국유사 목판 인쇄본이며, 지금까지 ‘삼국유사’ 연구의 기초자료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지난해 3월부터 1년간 판본조사와 목판 판각의 과정을 거쳐 올해 2월말 판각을 완료해 6월말에는 전통 방식으로 책을 만들었다. 완성한 책들은 사업의 주최·주관 기관인 경상북도, 군위군, 한국국학진흥원을 비롯해 자료 협조 등 유관기관의 도서관 및 박물관 등으로 배부할 예정이다.
한편, 경북도는 올해 말까지 ‘조선초기본’을 완료하고 내년 상반기에 ‘경상북도본’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경상북도본’은 조선시대에 제작된 ‘삼국유사’ 판본들을 비교·검토해 오탈자 및 내용의 오류를 바로잡은 교정본으로 향후 원본과 가장 가깝도록 표준화한 삼국유사의 정본(定本)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어서 열린 ‘경상북도본 정본화 학술대회’는 계명대학교 노중국 명예교수가 ‘경상북도 교감판 어떻게 만들 것인가?’라는 주제로 기조 발표했고, 경북대학교 남권희 교수가 ‘조선초기본과 중종 임신본의 비교 연구’, 동국대학교 김복순 교수는 ‘삼국유사 인용 전거와 원전 비교 연구’를 발표했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삼국유사 목판사업은 단순히 문화재를 복원하는 것이 아니라 韓民族의 우수한 전통기록문화를 복원하는 것으로 삼국유사의 역사·문화적 가치 규명은 물론 전통문화 유산을 전승하고 그 무한한 가치를 널리 알리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