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올해부터 경상도 개도 700년과 신도청 시대를 기념하기 위해 ‘삼국유사 목판사업’을 문화융성 역점시책사업으로 추진한다.

삼국유사 목판사업은 민족의 보전(寶典)이자 역사의 보고(寶庫)로 평가받고 있는 삼국유사가 현재 13여 종의 판본만 남아있을 뿐 목판은 전해지지 않고 있어 그 원형을 복원하려는 것으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현존하는 삼국유사의 판본 중에 ‘조선초기본’과 ‘조선중기본’ 그리고 이들을 교정할 ‘경상북도본’ 3종을 매년 1종씩 목판으로 판각(112판)해서 전통방식으로 책(5권 2책)을 만들어 보급하는 목판 복각(復刻)사업이다.

경북도는 지난해 3종 중 가장 먼저 시작한 조선중기판본 ‘중종 임신본(규장각본)’을 오는 2월말까지 판각을 완료하고, 5월에는 전통방식으로 인출해 제작한 책을 관계기관 등에 보급할 예정이다.
조선 초기본은 현재 ‘파른본’과 ‘범어사본’ 등의 판본들을 확보·조사하고 있으며, 동시에 내년에 판각하게 될 ‘경상북도본’의 판본을 새로이 만드는 정본(正本)화 작업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도는 지난해 말 목판사업의 문화·관광상품화와 자원화를 위해 삼국유사의 고장인 군위군의 ‘사라온 이야기마을’에 목판작업 전용시설인 도감소 공방(工房)을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이곳 공방에서는 이 사업의 핵심인 판각, 인출, 제책 등 주요작업 과정을 일반 관람객들에게 공개하고 판각, 인출(탁본)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운영한다.
전화식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삼국유사 목판사업은 우리 조상들의 자랑스러운 목판인쇄기술은 물론 고유한 전통문화를 복원하고 계승하여 민족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문화적 자긍심을 일깨우려는 것으로, 새로운 천년의 新도청 경북시대와 문화융성의 시대를 열어나가는데 꼭 필요한 뜻 깊은 일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