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영토주권 강화를 위한 간담회 개최
경북도 독도 관련 기관과 독도정책자문관 한자리에 모여
경상북도는 29일 경북대학교 글로벌프라자 세미나실에서 경북도 독도정책자문관과 독도정책관실, (재)독도재단, 도의회 농수산전문위원실 등이 한자리에 모여‘독도 영토주권 강화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날 간담회에서는 최근 일본의 독도 도발과 우리도 및 정부의 대응, 2013년 주요업무 추진성과 및 2014년 주요업무 계획 등에 대한 도와 재단의 보고 후 독도정책자문관의 자문이 이어졌다.
한편, 경상북도는 국제 사회의 동향을 신속하게 파악해 치밀하게 전개되는 일본의 독도 영토도발에 선제적으로 대처하고 우리 도의 독도정책에 대한 자문기능 및 대외 홍보 강화를 위해 2011년 10월 3명의 독도정책자문관을 위촉했다.
독도정책자문관은 독도 정책 등 주요업무 자문, 일본의 도발에 대한 대응방안 자문, 독도 관련 행사 참석, 언론기고, 독도관련 사업 제안 등 일본의 독도도발에 대한 다양한 자문을 통해 독도 영유권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경북도는 앞으로도 (재)독도재단 등 독도 관련 기관과 독도정책자문관 간담회 정례화를 통해 다양하고 심도 있는 자문을 통해 일본의 독도도발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방침임을 밝혔다.
이두환 도 동해안발전추진단장은 “일본 정부는 지난 1월 중․고교 교과서 해설서 ‘독도의 일본 고유 영토’명기, 2월‘다케시마의 날’기념식 강행 및 일본 정부 정무관 파견, 4월 초등학교 교과서‘한국이 독도를 불법 점령하고 있다’는 검정결과 발표 등 초등학생들에게까지 거짓 역사를 가르치려 하고 있어 어느 때보다도 독도 관할 최일선 자치단체 경상북도의 영토주권 강화 의지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조근래 독도정책자문관은“국가와 경상북도는 전 국민의 독도에 대한 인식을 심화시키고, 전문성과 관심도를 높이는 보다 효과적인 방법으로 독도사업을 전개해야 한다. 독도 오피니언 리더 그룹 조직화 등 독도관련 다양한 사업이 필요하다”고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