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섣부른 예천~안동 통합론 경계해야'
안동 정치권 앞장서면 빗장만 더 굳게 닫힐 뿐이다
[경북인칼럼] 유경상(경북인신문 발행인)
지방선거를 앞두고 안동 정치인들의 ‘예천-안동 통합론’ 공론화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특히 정치적 인기를 목적으로 구체적인 대책도 없이 잇달아 통합론을 주창하는 것에 대해 예천지역 주민들의 반발심만 높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진지한 통합 공론화의 물꼬를 트기는 커녕 ‘영구적인 분열 고착’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까지 등장하고 있다.
공개적인 예천-안동통합론은 김명호(안동시) 도의원으로부터 시작됐다. 김 도의원은 지난해 3월14일 도의회 임시회(제261차 경북도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도지사에게 질문하는 형식을 통해 ‘안동시와 예천군을 단일 지방자치단체로 통합하는 문제를 공론화 할 때가 되었다’고 발언을 시도했다. 2개 시․군의 행정통합 공론화 발언을 하면서도 예천쪽의 주민공감대 형성은 커녕 거부감부터 먼저 형성될 수도 있다고 걱정했듯, 이 발언은 곧바로 예천군 오피니언 그룹의 분노를 불러 일으켰다.
정상진(예천군) 도의원은 “사전 상의도 없이 안동쪽을 염두에 둔 인기발언을 하고 있다”고 즉각 반발했다. 정 도의원은 지난해 4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성공적인 도청이전을 위해 힘을 합쳐야 할 때 이런 불협화음을 조장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비난했다. 즉 안동의 일부 인사들이 주장하는 행정통합은 안동을 중심으로 한 흡수통합에 불과하다고 규정하며, 좀 더 자연스러운 협력과 연대의 중요성이 우선이라고 못박았다. 그 전후부터 예천지역은 ‘예천-안동 통합 결사반대’ 플랭카드와 구호가 난무하기 시작했다.
안동지역 일각에서도 섣부른 통합공론화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민간차원에서의 다각적인 협력과 연대 활성화’가 우선이라는 방법론이 좀 더 지혜로운 방법이라는 것이다. 사회, 문화,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부터 주민들이 상호 협력하는 경험과 결과치를 만들어 보는 것이 선행돼야 화합 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통합론을 전면에 내세우는 건 좋은 의도와는 관계없는 부정적인 결과만 양산할 뿐이라고 우려하고 나섰다.
특히 덩치가 더 큰 안동지역 정치권이 앞장서서 통합론을 주창하고 그 구호의 결과를 통해 당선이 된다면, 예천지역 정치권은 통합반대론을 앞세워 선거에 뛰어들 수밖에 없다. 김휘동 전 안동시장도 이런 걱정을 하며 지난해 8월 경 “양 지역 주민들이 머리를 맞대고 통합과 현상태 유지 등에 대해 장단점을 꼼꼼히 따져 할 일을 찾아내는 지혜와 역량이 요구된다”고 논의의 필요성이 우선이라고 블로그를 통해 언급했다.
마침 3월31일 안동지역 기초단체장에 출마한 이삼걸 예비후보가 정견발표를 통해 ‘경북도청 이전의 완결은 (안동)시․(예천)군 통합이다’고 거듭 밝히고 나서 논란이 예상된다. 자치단체(도,시,군) 간 공동협의체를 구성해 시․군통합 공론화를 시작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내세웠다. 그러나 과감한 입장 표명을 환영하기 보단 걱정과 우려가 더 클 수밖에 없다. <경북북부권의 상호협력과 상생을 위한 5대 프로젝트>에 포함된 ‘시․군통합 공론화 자치단체 공동협의체 구성’ 제안(공약)이 당장은 협력보다 갈등을, 상생보다 분열을 불러 일으킬 것이 자명하다는 점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