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를 위한 벽화사업인가?

대부분 업자를 위한 사업으로 비춰

2013-03-28     권기상 기자

안동시가 도시미관개선사업의 일환으로 진행한 마을벽화사업이 각 면ㆍ동별로는 사업취지와 다르게 집행돼 주먹구구식이라는 비난이 일고 있다.

안동시가 지난 2005년부터 추진한 마을벽화사업은 총 114곳에 8억 2천여만 원의 예산이 집행됐다. 이중 시에서 16곳, 각 동에서 98곳에 개별로 사업이 진행됐다.

시에서 발주한 벽화사업은 안동예총이나 미술협회를 통해 진행됐다. 이에 반면 각 동별로는 미술과는 연관이 없는 업체들이 사업을 진행해 문제점들을 드러냈다. 또한 사업자 선정에 있어서도 공고를 통해 수의계약을 해야 됨에도 불구하고 지명계약해 사업이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 예로 옥동의 경우 지난 2008년부터 지난해 10월 30일 현재까지 집계된 벽화사업은 8곳에 1억3천여만 원의 예산이 집행됐다. 이 가운데 사업을 수주한 업체들 대부분이 페인트상회나 건설, 건업분야로 미술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현상은 평화동, 용상동 등 몇몇 동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로 인해 각 지역의 문화와 정서가 반영되고 스토리가 있는 그림들로 도시미관을 새롭게 하기 위한 사업의 취지와는 달리 사업자를 위한 사업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지적이 강하게 일고 있다.

또한 계약방법에 있어서도 관련 법률에 따라 진행한 것이 아니라 인맥관계 통한 사업 발주가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안동시의회 K 모 의원은 “꼭 필요한 곳에 주민들의 논의와 심의를 통해 엄선해서 의미 있는 그림을 그려야 한다. 그림이 맞지 않으면 식생블럭이나 담쟁이 넝쿨 등 녹화사업으로 전환해서 사업을 진행해도 충분하다고 생각한다”며 “무분별하게 그려진 의미 없는 그림들로 사후 관리에도 문제가 생기는 사업은 지양해야 된다고 본다”고 꼬집어 말했다.

안동시 관계자는 “각 동에서 시행하고 있는 사업은 동장 재량사업으로 시에서는 어떻게 진행됐는지 파악이 되지 않은 상황이다.”며 “공공디자인사업은 별도의 심의위원회를 통해 그림을 선정하고 있다. 무분별한 벽화가 있다는 지적이 있어서 앞으로는 엄선된 기준을 통해 사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