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매몰지 안정화 단계별 사후관리방안 마련
『가축 매몰지 안정도 진단 및 사후관리방안』용역 중간보고회 개최
경상북도는 6. 28.(목) 15:00 영남대학교 산학협동기술원 회의실에서환경특별관리자문단이 참석한 가운데『가축매몰지 안정도 진단 및 사후관리방안』용역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용역수행기관의 용역추진상황 중간보고에 대해 외부 전문가인 자문위원들의 검토의견을 듣고 이를 용역수행에 반영, 용역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날 보고회에는 토양, 지하수, 환경, 축산, 악취분야 등 가축 매몰지 관련 외부 전문가인 자문위원과 연구용역 수행기관, 도 관계자가 함께 참석하여, 가축매몰지 안정도 진단과 효율적인 사후관리방안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토론했다.
자문위원들은 매몰지별 안정화 진행도 진단 시 매몰기간 경과에 따른 침출수 발생량 변화, 수질검사 결과 등 수질오염 가능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야 하며, 매몰지별 안정화 진행정도에 따라 각각의 차별화 된 매몰지 관리방안을 도출하여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가축매몰지 안정도 진단 및 사후관리방안 연구용역』은 구제역 발생으로 가축매몰 후 1년 이상 경과한 시점에서 도내 매몰지의 안정화 진행정도의 진단과 향후 효율적인 매몰지 사후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것으로, 금오공과대학교에서 이번 용역을 수행하고 있다.
지금까지 경북도는 안정성 우려 매몰지에 대한 시설보강과 함께 침출수 유출이 의심되는 매몰지는 이설하여 친환경매몰지(액비저장조, FRP탱크, 호기․호열성)로 조성하였으며, 도내 902개 지구의 전 매몰지에 대해 실명제공무원 1,389명을 지정하여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관리해 왔다.
또한, 점검결과에 따라 안정도가 낮은 일부 매몰지는 이설하여 친환경 매몰지로 조성하는 한편, 도로․민가주변 매몰지를 환경친화적인 매몰지로 조성하여 2차 환경오염을 차단해 오고 있다.
이날 보고회에서 경상북도 김광호 환경특별관리단장은 “효과적이고 현장성 있는 사후관리 방안 마련을 위해서는 개별 매몰지의 안정화 정도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이번 연구용역 수행 시 오늘 개진된 자문의원의 검토의견을 안정화 진단에 적극 반영하여 안정화 정도에 따라 차별화 된 매몰지 관리방안을 도출해 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