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상권까지 싹쓸이하겠다니!”

가뜩이나 어려운 지역생존권 유린 우려 높아

2011-02-16     경북인

최근 안동지역에 또다시 거대자본을 앞세운 대형 유통점 홈플러스의 입점 시도와 함께 기업형 슈퍼마켓(SSM)이 동네상권을 싹쓸이 하고 있다. 이런 현실 앞에서 무기력하던 안동시와 시의회, 뜻있는 시민들이 대응 수위와 방법을 놓고 다양한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안동지역에는 현재 대형소매점인 E마트와 롯데마트, 기업형 슈퍼마켓 등이 입점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상가상으로 운흥동 구 안동시외버스터미널 부지에 대형 쇼핑몰인 홈플러스 건축공사가 진행되고 있고, 송현동에는 안동봉화축협이 지상 2층(지하1층)의 총면적 1만9천여㎡ 규모의 대형마트 건립공사가 진행 중에 있다.


이처럼 대형마트 입점이 잇따르자 지역상권 몰락을 우려하는 상인들이 홈플러스 입점 저지 대책위를 구성하고 집단 움직임을 예고하고 있다. 시와 시의회에서는 지역 경제와 상권보호를 위해 관련 조례제정 및 협의회 구성에 분주한 모습이다.


안동시의회는 지난해 11월 국회를 통과한 유통법 및 상생법 개정안에 따라 안동시 전통상업보존구역 지정 및 대규모 ? 준대규모점포의 등록제한 등에 관한 조례를 제정, 시행에 들어갔다. 안동시에서는 유통업상생발전협의회를 구성하고 안동 용상시장, 구시장, 중앙신시장에 대해 전통시장구역지정 절차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런 움직임은 지난해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에서부터 출발한다. 지역 유통산업의 전통과 역사를 보존하기 위해 중소기업청장이 정하는 전통시장 및 전통상점가의 경계로부터 500미터 이내에서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는 지역을 전통상업보존구역으로 지정, 대규모 점포(백화점ㆍ대형마트 등)와 준대규모점포(SSM 등)의 등록을 제한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이 문제와 관련해 조례 상정과 유통업상생발전협의회 위원인 김대일(45) 안동시의원은 “재래시장을 보호하고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선 시민들의 관심과 행동이 필요하다. 상인들도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자구적인 노력을 하는 동시에 지원방법을 시나 의회에 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며 지역상인의 생존권 대책을 크게 걱정하고 나섰다.

늦은 감 있지만 홈플러스 저지 한목소리
그러나 시민들 사이에서는 안동시와 상인들의 움직임을 놓고 뒷북 행정이며 때늦은 처사라는 비판과 자성이 일고 있다.
안동시는 이미 E마트의 입점과 운영형태를 보았음에도 불구하고 대형 유통점 건축을 허가해 놓고, 뒤늦게 협의회를 구성, 대처한다는 것은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라는 지적이다. 건축허가 당시 강력한 저지운동으로 원천 봉쇄하지 못했다가 현실화 단계에 이르러 뒤늦게 반대운동에 나선 상인단체들을 바라보는 시선에는 안타까움마저 나타나고 있다.

안동시 안기동의 L씨는 “거대한 자본을 앞세워 시장을 잠식하고 있는 재벌기업의 편법에 눈감아 줘 놓고, 시민여론에 밀려 명분만 내세우다가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고 하는 것이 아니냐?”고 의구심을 나타내면서도 시 행정당국의 총력 대응을 촉구했다.

홈플러스 입점저지 대책위 관계자 C씨는 “홈플러스 입점 예정지는 녹지조성으로 공원화한다고 알고 있었다. 뒤늦게 홈플러스가 입점한다는 것을 알았다. 안동지역에는 이미 E마트와 SSM이 골목과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더구나 홈플러스는 외국계 대형마트이다. 막대한 지역자금의 역외 유출로 인한 지역경제 파탄은 불 보듯 뻔하다. 어떡하겠느냐? 막아 내야지 않느냐? 최근 울산시 같은 경우 시와 시민들이 뭉쳐서 홈플러스를 막아낸 선례가 있다. 못할 것 없다고 본다. 반드시 막아내야 된다”며 시민들의 적극적인 관심을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