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보선 참패로 MB, 한나라 지지율 급락

한나라 재보선 참패 ‘MB 정부 실정 때문’, 56.8%

2009-05-03     경북인

4.29 재보선에서 한나라당이 전패를 기록한 가운데, 이명박 대통령과 한나라당의 지지율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가 재보선 다음날인 30일 휴대전화로 실시한 정례 여론조사 결과, 이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은 지난주 대비 7.6%p 하락한 25.0%에 그쳐 2개월여 만에 다시 20%대로 내려갔다. 반면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8.6p 상승한 71%로 나타나 지난해 7월16일 조사(75.8%)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조사 응답자 가운데 56.8%가 한나라당의 재보선 참패원인을 이 대통령의 실정에 대한 중간 평가라고 응답한 것으로 볼 때, 이번 재보선 결과가 지지율 하락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의 지지율은 지역별로는 재보선 참패 지역이었던 부산/울산/경남(▼16%p)과 인천/경기(▼15.7%p)에서 큰 폭으로 하락했고, 여성(▼9.3%p)과 40대(▼11.1%p) 연령층에서 낙폭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한나라당 지지층에서도 7.4%p가 이탈, 하락세를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당지지율에서 한나라당 역시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한나라당은 지난주 대비 무려 11.2%p 지지율이 빠진 23.5%을 기록, 지난해 10월 쌀 직불금 수령 파문으로 29.2%를 기록한 이후 6개월만에 다시 20%대로 떨어졌다. 반면 절반의 승리를 거둔 민주당은 전주 대비 2.5%p 상승한 16.7%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다음으로 민주노동당(7.6%)이 5.7%p 큰 폭으로 상승해 13.3%로 3위에 올랐으며, 친박연대(6.3%), 자유선진당(4.5%), 진보신당(3.5%), 창조한국당(2.2%) 순으로 조사됐다.

한편 18대 국회의원 의정활동 평가 결과에서는 ‘국회의원들이 의정활동을 잘하고 있다’는 긍정평가는 5.9%에 그쳤고, ‘의정활동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가 86%에 달해, 국회가 청와대보다도 낮은 점수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지정당에 따라 다소 의견차를 보여 야당 지지층은 의정활동 평가가 낮아 긍정평가가 5% 미만인데 반해, 여당인 한나라당 지지층은 15.8%가 긍정평가를 내려 긍정 평가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번 주부터 국회 의정활동 평가도 정례 조사 포함)

마지막으로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에서는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가 39.2%로 여전히 1위 자리를 지켰고, 전주 덕진에서 무소속 출마로 당선된 정동영 전 장관이 10.6%로 2위를 차지했다. 3위는 이회창 자유선진당 총재로 10.5%를 기록했으며, 손학규 전 지사가 1.7%p 상승한 6.8%로 4위에 올랐다. 다음으로 정몽준 의원은 6.3%로 한계단 내려왔으며, 김문수 경기지사(5.4%), 오세훈 서울시장(5.0%), 정세균 민주당 대표(2.2%) 순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4월 30일,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로 조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 3.1%p, 응답률은 28.9%였다.  (서울=뉴스와이어) 2009년 05월 02일

한나라 재보선 참패 ‘MB 정부 실정 때문’, 56.8%
(서울=뉴스와이어) 2009년 05월 02일 -- 4.29 재보선에서 한나라당이 0대5 전패한 원인으로 우리 국민 절반 이상은 이명박 정부 심판론쪽에 큰 무게를 두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가 여당의 재보선 참패 원인이 어디에 있다고 보는지 조사한 결과, ‘이명박 대통령의 실정에 따른 평가’라는 의견이 56.8%로 압도적이었고, ‘친이, 친박 세력간 내분’(9.5%), ‘당 지도부의 리더쉽 부재’(7.8%), ‘잘못된 후보 공천’(7.6%),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노 전 대통령 수사에 대한 역풍’(7.4%) 등 기타 원인들과는 큰 격차를 보였다.

하지만 여당의 참패 원인에 대한 해석은 지지정당에 따라 의견차를 보였는데, 민주당(58.9%)을 비롯한 야당 지지층은 일제히 이 대통령 심판론이라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한나라당 지지층은 심판론(26.5%)이라는 지적 못지않게 ‘친이,친박 세력간 내분’(19.9%)이나 ‘잘못된 후보 공천’(17.2%) 때문이라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그밖에 지역을 불문하고 이번 사태를 이 대통령에 대한 평가와 연결짓는 의견이 많은 가운데, 특히 전남/광주 응답자가 79.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북(68.2%), 대전/충청(62.3%), 인천/경기(59.9%) 순으로 조사됐다.

또한 여성(54.6%)보다는 남성(59.1%)이 이 대통령의 실정에 따른 평가를 많이 꼽았고, 연령대가 낮을수록 그러한 의견이 많아 20대가 71.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0대(64.4%), 40대(53.9%), 50대 이상(44.1%) 순이었고, 반면, ‘친이,친박 세력간 내분’ 때문으로 보는 의견은 50대 이상 응답자가 16.3%로 가장 많았다.

한편 덕진구와 완산구에서 각각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된 정동영, 신건 당선자의 민주당 복당과 관련해서는 ‘복당 불허’(41.9%)와 ‘복당 허용’(41.9%)이 팽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당 시기에 관해서는 ‘당규에 따라 1년 이후에 복당을 허가해야’ 한다는 의견이 23.7%로 ‘당장 입당시켜야 한다’(18.2%)는 의견보다 5.5%p 가량 많아, 좀 더 신중하게 처리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지정당별로 두 당선자의 거취에 관한 의견을 비교하면, 한나라당(57.2% 〉26.3%)을 비롯해 자유선진당(53.2% 〉29.2%), 민주노동당(58.8% 〉32.6%) 지지층은 복당 불허가 허용 의견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민주당 지지지층은 64.7%가 복당시켜야 한다는 의견을 보여 복당 불허(23.0%) 의견을 크게 앞섰고, 그중에서도 당장 입당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44.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역별로는 전남/광주(8.2%〈79.8%), 전북(10.4%〈78.1%) 및 서울(39.7%〈44.5%) 응답자는 복당 허가 의견이 우세한 반면, 의견차가 팽팽한 부산/울산/경남(37.9%〈40.2%)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는 복당 불허 의견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복당 허가 의견이 우세한 세 지역에서도 그 시기에 관해서는 당장 입당보다는 1년 이후 허가해야 한다는 의견이 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밖에 연령별로는 20대(56.2%〉22.9%)만이 복당 불허 의견이 우세했고, 그 외 연령층은 시기에 대한 의견차는 있으나 복당 허용쪽으로 의견이 기우는 것으로 나타났다.